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아기수첩
- 예방접종
- 디티피
- 유아DVD
- 영어DVD
- 영유아예방접종
- 히크만캠페인
- 유아해열제
- 배앓이방지젖병
- 영유아파상풍
- 신생아배앓이
- 신생아결핵
- 영유아검진
- 엄마표영어
- 덱시부프로펜
- 필수접종
- RSV바이러스
- 꼬마활명수
- MZ세대
- 소화불량증상
- 히크만주머니
- 육아템
- 해열제교차복용
- 아이체했을때
- 비말감염
- 결핍의중요성
- 영어노출
- 유아영어
- 슈퍼윙스
- 소화불량약
- Today
- Total
마마월드
유아 이유식:개요, 만드는 법 본문
유아 이유식:개요, 만드는 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 모유 또는 분유 수유를 하시다가 이제 이유식에 넘어가야 하는 부모님들께서는 오늘 제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이유식 할 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
개요
영유아기의 아기들이 젖을 떼고 식사에 익숙해지기 위하여 먹는 죽과 비슷한 음식입니다. 부모들이 재료의 원산지, 제조과정 등에 매우 관심 있어하는 상품 중 하나입니다. 특히 잘게 자르지 못한 재료가 들어갔을 때 아기의 기도를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더욱 깐깐하게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. 아기들마다 음식 알레르기의 유무나 종류별로 다양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부모들이 예민하게 반응합니다. 아기들은 아직 미숙해서 이유식을 받아먹을 때 많이 흘리기 때문에 턱받이를 필수로 착용합니다. 소근육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숟가락을 스스로 쥐고 떠먹기 시작해도 많이 흘립니다. 그래서 이유식용 턱받이에는 실리콘 바구니가 달려있습니다.
먹이는 법
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는 의학적으로 6개월이 넘어설 때 부터 이유식을 권장하지만 분유 수유를 하는 아기들은 약 만 4개월 때부터 이유식 시작을 권장합니다. 이유식을 먹이기 시작하면 변의 냄새나 색깔이 달라지기 시작합니다. 제일 처음 이유식을 먹일 때는 미음과 같은 형태로 먹입니다. 이때는 모유 또는 분유만 먹을 때라 물 같은 미음으로 시작해야 합니다. 그러다가 서서히 아주 묽은 건더기가 있는 야채죽을 먹이다가 돌쯤(12개월)되면 작게 썬 고기와 채소를 섞어서 먹입니다. 이때 간은 하지 않습니다. 아기들은 하루에 마시는 물이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음식에 간을 하게 되면 염분 처리를 할 수가 없습니다. 아기들은 아직 식사에 익숙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이유식을 섭취하기 힘듭니다.
- 초기:생후4~6개월 때 단일 식품으로 시작하고 하루 1회, 반유동식으로 숟가락으로 줍니다. 쌀미음, 야채퓌레, 과일퓌레(초기부터 과일을 먹이면 단 음식에 빨리 노출되어 식습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) 당근은 질산염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6개월 이전에는 절대 먹여서는 안 됩니다.
- 중기:생후 6~9개월, 하루에 2~3회씩 얇게 다진 야채와 생선, 곱게 썬 고기, 묽은 죽으로 주면 됩니다.
- 후기:생후 9~12개월, 잘게 썬 야채, 다진 고기, 죽밥으로 주면 됩니다.
이유식을 먹일 때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주는 것이 식습관 유지에 좋습니다. 모유나 분유 수유 하기 전에 먼저 주는 게 좋습니다.